엑셀을 좀 하는 사람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글자수 세는 방법이지만 입문자에게는 간단한 함수도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엑셀을 활용한 초간단 글자수 세는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릴 예정이며, 블로그와 이력서 작성 시에 중요한 글자의 수도 손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엑셀 글자수 세기 : LEN함수
엑셀 글자수 세기를 하려면 LEN함수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합니다. LEN함수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엄청 간단한 함수입니다.
아래 활용 예를 보면 더 쉽게 이해가 가실 겁니다.
2가지 예를 들어서 함수를 적용해 봤는데요. LEN함수를 띄어쓰기(공백)도 글자를 인식해서 글자 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영어나 다른 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엄청 간단하죠? 그렇다고 여기에서 끝내기엔 정보의 질과 양이 부족하여 응용할 수 있는 부분 및 참고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소서 및 블로그 글자수 세기 : 공백제외
일반적으로 기업에서의 자소서의 글자 수 기준은 띄어쓰기(공백)를 포함하긴 하지만 많은 분들이 블로그도 운영할 때 글자 수를 매우 중요하게 취급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띄어쓰기(공백)를 제외하고 글자 수를 세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띄어쓰기(공백)를 제외하고 글자 수를 세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SUBSTITUTE함수를 활용한 방법입니다.
이 함수는 문자열의 텍스트를 대체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UBSTITUTE함수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말보다는 직접 보시는 게 이해가 빠르실 테니 아래 해당 함수가 적용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SUBSTITUTE함수를 적용하면 위와 같이 공백이 사라진 값이 반환이 됩니다. 반환된 값을 LEN함수를 사용하여 글자수를 구하면 띄어쓰기(공백)를 제외한 값을 구할 수가 있겠죠?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두 번째 방법은 단축키 crtl + H를 눌러서 찾기 및 바꾸기를 실행하는 겁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백을 제거하고자 하는 셀 클릭 또는 드래그
- ctrl + H (찾기 및 바꾸기 실행)
- 찾을 내용에 공백(스페이스) 입력
- 바꿀 내용은 아무런 입력 하지 않음
- 바꾸기 클릭
해당 과정을 거치면 위 글자(변환 후)처럼 공백이 사라진 값이 반환이 됩니다. 그 이후에 LEN함수를 사용하면 공백을 제외한 글자수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참고사항
LEN함수에서 글자수를 세는 한계가 있습니다. 아래처럼 글자를 무한정 늘려서 LEN함수를 사용해 봤는데요. 32,767 이상으로 숫자가 늘진 않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만 자 이상 사용하실 일은 거의 없겠지만 LEN함수 적용할 때 참고 바랍니다.
엑셀에서 글자수를 세는 일은 몇 가지 간단한 공식만 알면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들을 참고하셔서 업무나 자소서 그리고 블로그를 작성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오늘하루도 파이팅이에요!